지식

[정처기] OSI 7 Layer 총 정리

colin2 2025. 4. 3. 15:19

 

OSI 7 Layer
OSI 7 계층

 

 

 

Layer 7
응용 계층
(Application Layer)
FTP(20/21), SSH(22), Telnet(23), SMTP(25), DNS(53), HTTP(80), POP3(110), IMAP(143), SNMP(161), HTTPS(443)
* 네트워크 가상 터미널이 존재하여 서로 상이한 프로토콜에 의해 발생하는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는 계층
* 최종 단계의 데이터 단위: 전문(Message)
Layer 6
표현 계층
(Presentation Layer)
* 응용 프로세스 간에 데이터 표현상의 차이에 상관없이 통신이 가능하도록 독립성을 제공하는 계층
* 데이터의 코드 변환, 데이터 압축, 암호화 등의 수행을 통해 응용 계층의 부담을 덜어줌
Layer 5
세션 계층
(Session Layer)
* 송수신 측 간의 관련성을 유지하고 대화 제어(Dialogue Control)를 담당
* 데이터 전송 중에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, 동기점(Synchronization Point)을 통해 오류를 복구
Layer 4
전송 계층
(Transporrt Layer)
* TCP 전송 단위:
[세그먼트]
* UDP 전송 단위:
[데이터그램]
* TCP, UDP
* 종단 간 통신을 다루는 최하위 계층으로 송수신 프로세스를 서로 연결
* 네트워크상 단말기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송수신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계층
* 오류 검출과 복구, 흐름 제어, 중복 및 누락 검사, 다중화 등을 수행하며 세그먼트 단위로 데이터 전송
Layer 3
네트워크 계층
(Network Layer)
* 전송 단위: [패킷]
* IP, ICMP, IGMP, X.25, RIP, OSPF
* 주소를 정하고 경로를 선택하여 패킷을 전달해주는 계층
* 논리적 주소(IP) 부여를 통해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라우팅 기능이 핵심
* 관련 장비: 라우터, L3 스위치 등
Layer 2
데이터 링크 계층
(Datalink Layer)
* 전송 단위: [프레임]
* HDLC, PPP, LLC, LAPB, LAPD, ADCCP
* 인접한 두 개의 통신 시스템 간에 신뢰성 있는 효율적인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층
* 물리 계층을 통해 노드 간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정보 전달의 안전성을 높이는 계층
* MAC주소를 통해 통신하며 프레임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
* 관련 장비: 브리지, 스위치 등
Layer 1
물리 계층
(Physical Layer)
* 전송 신호: [비트]
* X.21(디지털), V.24(아날로그), RS-232C
* 물리적 신호를 주고받는 계층, 물리적 전송 매체와 전송 신호 방식을 정의
* 데이터의 종류나 오류를 제어하지 않음
* 관련 장비: 전송 회선, 허브, 리피터 등

 

응용 계층 (Application Layer)

FTP(20/21):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

SSH(22, Secure Shell):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달(보안성 상승)

Telnet(23, Tele Network): 데이터를 평문으로 전달(보안성 떨어짐)

SMTP(25): 이메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

DNS(53): 도메인 네임을 IP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

HTTP(80): 웹브라우저와 웹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

POP3(110): 수신측 이메일 서버에서 컴퓨터로 다운로드

IMAP(143): 이메일 서버에서 메일의 헤더를 분서하여 수신하기 전에 처리(분류, 삭제 등)

SNMP(161): 네트워크 장비의 모니터링 및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

HTTPS(443): HTTP에 SSL 계층을 포함하여 보안 기능(전체 통신 내용 암호화)이 강화된 프로토콜

 

전송 계층 (Transporrt Layer)

TCP: 신뢰성 있는 연결 지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

UDP: 비연결형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프로토콜

 

네트워크 계층 (Network Layer)

라우터: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전송 목적지까지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 장치

 

IP(Internet Protocol): 네트워크 간의 패킷 라우팅과 주소 지정을 담당하는 프로토콜

ICMP(Internet Control Manage Protocol):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기의 운영체제에서 오류 메시지를 수신하는 데 사용(핑 테스트)

IGMP(Internet Group Manage Protocol)

RIP(Routing Information Protocol): 소규모 또는 교육용 등의 간단한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

OSPF(Open Shortest Path First): RIP 단점 보완

ARP(Address Resolution Protocol): IP주소를 MAC주소로 변환

RARP(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): MAC주소를 IP주소로 변환

 

데이터 링크 계층 (Datalink Layer)

스위치: 허브의 기능을 확장한 것으로 전송 중 패킷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목적지로 지정한 포트로만 1:1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

브리지: 서로 다른 근거리 네트워크 영역(LAN)을 연결하는 장치

 

HDLC: 동기화 및 흐름 제어, 오류 검출 및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토콜

PPP: 포인트 투 포인트 연결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

 

물리 계층 (Physical Layer)

허브: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다수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장치

  • 더미허브: 네트워크 전체 대역폭을 컴퓨터들이 나눠 쓰는 방식 (속도 저하)
  • 스위칭허브: 통신이 필요한 컴퓨터에 대역폭을 집중 (속도 유지)

리피터: 데이터 전송 중 감쇠되는 신호를 증폭시켜 목적지까지 안정적으로 도달하게끔 하는 장치